editor

2025년 10월 30일
초록색 식생으로 표현한 반도형 지구 일러스트를 왼쪽에 배치한 세로형 학술대회 포스터. 큰 제목 “동아시아 기후 위기와 재난 거버넌스”. 행사 정보: 2025년 11월 14일(금) 09:30–18: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영원홀. 하단에 “오전 프로그램 영어, 오후 프로그램 한국어” 안내 문구. 공동주최 로고와 문의 이메일/전화 포함. 프로그램 요약(좌측 정렬 텍스트): 개회식(09:30–09:45): 환영사·축사·개회사 순서. 제1세션(09:45–12:15) — “Anthropocene, Climate Change and Urban Disasters”(영어) 사회: Doyoung Oh (Seoul Nat. Univ.) 발표 1: “Anthropocene and Catastrophism” – Hongjung Kim (Seoul Nat. Univ.) 발표 2: “Climate Change and Human Capital: The Hidden Costs of a Warming World” – Jisung Park (Univ. of Pennsylvania) 발표 3: “East Asian Critical Zone: The Concept and Its Implications” – Zunweng(또는 Zengwen) Chen (Nat. Chengchi Univ.) 발표 4: “Urban Disasters and Disaster Prevention Systems in China” – Xinyu Jiang (Nanjing Univ.) 지정토론: Seungjin Kim (Seoul Nat. Univ.) 제2세션(13:30–15:20) — “취약한 도시 거버넌스: 개발, 갈등, 재난 표상”(한국어) 사회와 다수 발표·토론이 안내 표 형식으로 나열됨(발표 1–3, 지정토론 2인). 제3세션(15:40–18:00) — “기후 위기와 포스트–재난의 정동과 사유: 문학, 역사, 전망”(한국어) 사회와 다수 발표·토론이 안내 표 형식으로 나열됨(발표 1–4, 지정토론 2인). 하단: 공동주최 표기(도시사회학회, SNUAC 동북아센터, 조선대 재난인문학연구사업단)와 기관 로고, 문의: junry7@snu.ac.kr / 02-880-6894

동아시아 기후 위기와 재난 거버넌스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동북아시아센터와 도시사학회, 조선대 재난인문학연구사업단이 공동 주최하는 <동아시아 기후위기와 재난 거버넌스> 국제학술회의가 11월 14일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영원홀(210호)에서 진행된다.
2025년 10월 17일

신냉전 시기 김정은 체제의 자기재현과 그 효과

본 학술행사명은 <신냉전 시기 김정은 체제의 자기재현과 그 효과>로 기존의 북한에 대한 정치적 군사적 측면 위주의 분석을 극복하고 가시적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 문화정치적 측면으로서 북한체제가 자신을 […]
2025년 10월 17일

City of Sediments: A History of Seoul in the Age of Colonialism

이번 북토크에서는 미시간대학교 Se-Mi Oh 교수의 연구서인 City of Sediments: A History of Seoul in the Age of Colonial- ism을 다룬다. 이 책은 20세기 초 일본 […]
2025년 10월 17일

2025년 도시사학회 춘계학술대회: 20세기 한국 도시변동과 동북아시아

이번 도시사학회의 춘계학술대회는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동북아시아센터와 공동 주최하며 <20세기 한국 도시변동과 동북아시아>를 테마로 삼는다. 동북아시아라는 역사적-지정학적 공간에서 식민지기와 포스트식민지기를 거쳐 온 한국 도시변동의 역사적 연속성과 변동의 […]
2025년 10월 17일

SNUAC – Konrad-Adenauer-Stiftung Academic Exchange Programme

본 행사는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동북아시아센터와 콘래드-아데나워 재단(Konrad-Adenauer-Stiftung)이 공동 주최하는 국제 학술 교류 행사이다. 본 행사에서는 한국과 유럽 지역의 대학 교수, 대학원생, 콘래드-아데나워 재단 구성원 등이 참석하여, […]
2025년 2월 24일

(동)아시아 대중문화: 근대화, 지구화, 권역화

이 글은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한정하여 아시아 대중문화와 역사에 관한 하나의 접근을 제공한다. 편의상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총칭하는 용어로 (동)아시아를 사용한다. 여기서는 (동)아시아 대중문화의 역사와 현재를 근대화, 지구화, […]
2025년 2월 24일

도깨비의 기원과 한중일의 요괴문화

아시아는 서양의 근대문명과는 차별화되는 독특한 상상력 속에 수많은 신과 요괴문화를 창조하고 일찍부터 조형화했지만, 아쉽게도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 한국의 요괴 연구와 콘텐츠 창조는 매우 저조하다. 이것은 아마도 […]
2025년 2월 3일

[Book and Book 콘서트] 식민주의와 동아시아 근대

이번 북&북 콘서트는 식민주의와 동아시아 근대를 성찰하는 두 권의 책을 묶어서 다룬다. 식민지 경험은 여전히 21세기의 한국사회에도 뚜렷한 흔적을 남기고 있음을 두 책은 잘 보여준다. 사회학자 […]
2024년 12월 12일

[Book and Book 콘서트] 경계를 넘는 공동체 베이징 저장촌 생활사

주민들은 산업의 변동에 따라 어떻게 자신들의 공동체와 운명을 변형하고 개척하는가. 농민들은 거대한 가속적 도시화에 어떻게 대처하는가. 원저우 출신 농민들의 동향촌이 1990년대 베이징에서 가장 큰 저가 의류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