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and Book 콘서트] 식민주의와 동아시아 근대
이번 북&북 콘서트는 식민주의와 동아시아 근대를 성찰하는 두 권의 책을 묶어서 다룬다. 식민지 경험은 여전히 21세기의 한국사회에도 뚜렷한 흔적을 남기고 있음을 두 책은 잘 보여준다. 사회학자 […]
[Book and Book 콘서트] 경계를 넘는 공동체 베이징 저장촌 생활사
주민들은 산업의 변동에 따라 어떻게 자신들의 공동체와 운명을 변형하고 개척하는가. 농민들은 거대한 가속적 도시화에 어떻게 대처하는가. 원저우 출신 농민들의 동향촌이 1990년대 베이징에서 가장 큰 저가 의류 […]
[Book and Book 콘서트] 중국의 역사와 현대적 도전들
북토크는 현대 중국 관련 중요한 저서와 역서들을 학계 및 교양대중과 공유하는 사업으로 수년간 지속적으로 진행해 왔다. 우징롄의 <중국현대경제사1956-2020: 개혁과 전환, 그 역사구조적 전개>는 1980년대부터 중국 경제개혁의 […]
한국의 강대국 편승 안보 전략: 대안 모색과 한미 동맹 억지력의 취약성 분석
이진명 박사가 지난 2년 동안 진행한 연구 과제를 총괄하여 정리한 “강대국 편승 안보정책에 대한 평가와 대안의 모색”은 한미동맹의 분쟁 억지력에 대한 이론적 성찰과 재구성을 통하여 현재 […]
‘연결성(Connectivity)’ 관점에서 본 일대일로에 대한 비판적 분석
주관: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동북아센터 일시: 2024년 5월 8일 1:50-5:00 pm 장소: 아시아연구소 국제회의실 (303호) 개회사: 김백영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동북아센터장) 1:50-2:00 [1세션] 일대일로를 바라보는 역사적 철학적 시각 […]
학술행사 안내
등록된 게시물이 없습니다 |
2021 동북아 연구과제
연구성과

1980년대 이후, 경제 발전을 우선 순위로 삼은 아시아 국가들은 국경과 시장을 개방하여 노동력과 자본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 일부 국가는 해외 디아스포라를 경제 발전의 […]

최근 몽골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사람들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1990년대 몽골의 사회변화와 맞물려 개방정책과 함께 민간인의 한국행을 시작으로 외국어 공부와 해외여행의 새로운 시대가 열렸으며, 한국어 공부와 한류의 […]

우크라이나 전쟁은 2024년에도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 이 전쟁은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한 가치 공동체 ‘서구’와 중국과 러시아를 중심으로 한 비자유세계 간의 문명의 충돌을 극명하게 드러냈다. 이 […]

2011년 3월 11일, 역대 최대라는 9.0 매그니튜드의 대지진과 대쓰나미가 동일본 일대를 강타하면서 그 여파로 도쿄전력후쿠시마제1원전은 세 기의 원자로가 멜트다운되고 폭발하는 인류 최악의 원전사고(이하, ‘후쿠시마핵재난’)를 일으키고 말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