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

2024년 4월 22일

한강과 대동강을 잇다: 평양 도시문화 연구를 통한 남북한 문화통합 방안 모색

Review 2024년 2월 28일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국제회의실에서 동북아시아센터의 통일과 나눔 지원 사업 <한강과 대동강을 잇다: 평양도시문화 연구를 통한 남북한 문화통합 방안 모색>의 성과를 점검하기 위한 학술대회를 […]
2024년 4월 22일

근대 일본의 외지 투어리즘과 식민지 도시

Review 2024년 2월 26일 서울대 국제대학원 140동 105호에서 일본연구소와 동북아센터 공동으로 개최한 본 발표회에서 김백영은 일본인의 조선을 찾는 식민지관광을 ‘개별 행위자들의 인지와 경험이라는 미시적 관점’에서 접근하면서 […]
2024년 4월 15일

글로벌 도시쇠퇴의 현황과 회복전략: 독일·미국사례와 동아시아적 함의

발표자 : 박종기 / 교수 / 순천향대 건축학과이윤석 / 부연구위원 / 국토연구원 Review 본 특별 콜로키엄은 지난 겨울방학에 4회 시행되었던 동북아시아 쇠퇴도시 연구세미나에 이어 독일과 미국 쇠퇴도시 […]
2024년 2월 14일

한국 문화의 구조와 변동

Review 고려대 이헌창 명예교수는 경제학자이지만 이번 발표에서 퇴임 이후에도 꾸준히 연구한 결과물로 <한국문화의 구조와 변동>이라는 문화론적 주제를 다루었다. 그가 준비하고 있는 저서의 중간점검의 성격을 띠는 이번 […]
2024년 2월 14일

왜 한국은 몽골인들에게 친근한 나라가 되었나?

최근 몽골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사람들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1990년대 몽골의 사회변화와 맞물려 개방정책과 함께 민간인의 한국행을 시작으로 외국어 공부와 해외여행의 새로운 시대가 열렸으며, 한국어 공부와 한류의 […]
2024년 2월 14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동북아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은 2024년에도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 이 전쟁은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한 가치 공동체 ‘서구’와 중국과 러시아를 중심으로 한 비자유세계 간의 문명의 충돌을 극명하게 드러냈다. 이 […]
2024년 2월 14일

핵재난의 시대, 일본의 기록주의 문학에 길을 묻다

2011년 3월 11일, 역대 최대라는 9.0 매그니튜드의 대지진과 대쓰나미가 동일본 일대를 강타하면서 그 여파로 도쿄전력후쿠시마제1원전은 세 기의 원자로가 멜트다운되고 폭발하는 인류 최악의 원전사고(이하, ‘후쿠시마핵재난’)를 일으키고 말았다. […]
2024년 2월 14일

북토크 차이나 리터러시

싸드 사태 이후, 더 최근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오랫 동안 한국의 최대교역국이었던 중국에 대한 한국인들의 반중 더 나아가 혐중 감정이 강화되었고 최근에는 반중정서에 대한 연구들도 쏟아지고 […]
2024년 1월 25일

K의 문화사회학

Review 과거 ‘극동(Far East)’이라 불렸던 동북아시아 지역은 19세기 후반부터 서구 문명과 본격적으로 조우하면서 근대로의 문명적 전환이 이루어졌고, 그 과정에서 제국-식민지의 문명적 위계에 따라 문화적으로 타자화된 역사적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