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

2023년 12월 11일

‘인종’ 없는 인종주의? 아시아의 관점에서 인종화 연구하기

Review 오랫동안 다민족 다문화 상황이 아닌 단일민족 신화와 서사 속에서 살아온 한국에서 민족주의 담론과 연구에 비해 인종주의라는 담론 자체가 그동안은 어색한 것이었고 따라서 전면적으로 연구된 적도 […]
2023년 10월 20일

한반도 제1차 핵위기: 1970년대 한국의 핵·미사일 개발과 미국의 대응

1992년 이후 북한은 본격적으로 핵무기개발을 추진하였고, 그 이후부터 지금까지 한반도는 수시로 핵위기와 전쟁위기에 휩싸이곤 했다. 이제는 김정은 정권이 2016년 1월 제4차 핵실험, 9월 제5차 핵실험을 강행하는 […]
2023년 10월 20일

항미원조: 중국인들의 한국전쟁

항미원조 전쟁이 미중관계가 좋았을 때는 억압된 역사적 사건이었다가 미중관계가 악화되면서 다시 소환되는 원인과 과정을 통해 동북아 정세를 성찰한다. 이를 위해 중국인들의 입장에서 보는 한국전쟁의 문화적, 역사적 […]
2023년 10월 20일

동북아시아의 모빌리티: 이동의 경험과 탈경계적 상호작용

제1부: 만주(동북)와 모빌리티 | 사회: 김판수(서울대) “동청철도와 러시아의 만주인식(1894-1904): 만주분할론과 만주병합론을 중심으로” | 최덕규(동북아역사재단) “세계체계분석과 근대 만주지역 연구: 세계체계분석의 효용성을 찾기 위한 시론적 모색” | 유성희(한경국립대) “중국 동북지역 베이다황 개발과 […]
2023년 8월 28일

포스트코로나 시대, 중국 청년들의 정체성 변화 : 후랑(後浪) 동영상 사건과 따공런(打工人) 담론의 의미

이 글은 코로나 이전 세대 담론들의 연장선상에서 중국의 사회 변화에 따른 중국 청년세대의 의식 변화를 특히 후랑 동영상 사건과 ‘따공런’ 담론을 통해 진단한다. 따공런 담론은 과거 […]
2023년 8월 28일

동북아 종교 지형을 읽는 눈

우리는 동북아시아의 종교 지형을 어떤 방식으로 상상할 수 있을까? 종교 소속에 기반을 둔 종교 인구 분포로는 동북아 사회에서의 종교현상을 적절하게 묘사하기 어렵다. 19세기 이후 서구에서 도입된 […]
2023년 8월 28일

시진핑 시대의 중국 노동자 : 부유(浮游)하는 삶들의 사회적 연대와 정치적 주체화

사회주의 시기 중국에서 ‘국가의 주인공’으로 인식되었던 노동자들의 존엄과 위상이 추락하고 있다. 특히 시진핑 국가주석 체제하에서 중국 노동자들의 현실은 더욱 악화하고 있다. 시진핑 주석은 신시대를 맞아 ‘중국의 […]
2023년 8월 28일

타이완 패러독스, 세계평화를 위협하다

대만해협은 대륙세력과 해양세력이 구심력과 원심력으로 줄다리기를 하며 절묘한 세력균형을 이뤄 온 곳이며, ‘현상유지(status quo)’라는 타협점을 통해 평화와 안보를 유지해 온 공간이다. 중국의 국력이 강해지면서 대만해협에서의 세력균형이 […]
2023년 8월 28일

근현대 일본 트랜스젠더*의 여러 얼굴

일본은 고대부터 꾸준하게 다양한 젠더 크로싱의 기록이 발견되지만, 근대에 이성애와 성별이분법이 강화되면서 젠더크로싱은 변태성욕이라는 이름으로 비정상의 영역으로 밀려난다. 전후 1980년대까지 유흥과 예능의 영역에서 두드러진 여장남성이나 여성스러운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