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행사

2023년 10월 20일

항미원조: 중국인들의 한국전쟁

항미원조 전쟁이 미중관계가 좋았을 때는 억압된 역사적 사건이었다가 미중관계가 악화되면서 다시 소환되는 원인과 과정을 통해 동북아 정세를 성찰한다. 이를 위해 중국인들의 입장에서 보는 한국전쟁의 문화적, 역사적 […]
2023년 10월 20일

동북아시아의 모빌리티: 이동의 경험과 탈경계적 상호작용

제1부: 만주(동북)와 모빌리티 | 사회: 김판수(서울대) “동청철도와 러시아의 만주인식(1894-1904): 만주분할론과 만주병합론을 중심으로” | 최덕규(동북아역사재단) “세계체계분석과 근대 만주지역 연구: 세계체계분석의 효용성을 찾기 위한 시론적 모색” | 유성희(한경국립대) “중국 동북지역 베이다황 개발과 […]
2023년 8월 28일

당치국가 중국: 시진핑 시대 통치구조와 정치의 변화 (2023)

Review 시진핑 집권 이후의 중국정치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18차, 특히 19차 당대회 이후 중국정치의 변화는 더 이상 개혁개방 시기 중심의 연구로는 설명되기 어렵다. 시진핑의 공산당은 법치와 […]
2023년 8월 28일

빈곤 과정: 빈곤의 배치와 취약한 삶들의 인류학 (2022)

Review 이 책은 지난 20년간 저자가 경험적 연구를 통해 빈곤을 학술적·실천적 주제로 탐구해 온 과정에 대한 기록이다. 저자는 한국과 중국의 여러 현장을 대상으로 하여, 빈곤을 새롭게 […]
2023년 8월 28일

재난 정의와 기억

Review 재난이 단순히 자연현상에 의해서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는 정의와 기억의 문제와 긴밀하게 결부되어 있다. 왜냐하면 재난은 사회의 수면 아래에 존재했던 각종 […]
2023년 8월 28일

시청각 아카이브 연구방법으로서 ‘몸짓으로서 세계’: 『Cine-Mobility』(2022)

Review 동북아시아의 영화는 남다르다. 영화를 잘 만들거나, 장르적으로 특이하다는 것이 아니다. 20세기의 역사를 통해 사람들이 영화를 접하는 방식, 영화라는 매체가 전달되는 방식이 특이하기 때문이다. 제국과 식민지로 […]
2023년 8월 28일

동일본 대지진 이후의 일본 도시와 건축

Review 어떤 도시를 만들 것인가? 이를 생각하고 이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이들은 여러 분야에 걸쳐 존재한다. 도시를 담당하는 정치인들이 있고, 도시의 행정가들도 존재하며, 도시계획을 만드는 이들도 […]
2023년 8월 28일

중국 쇠퇴도시의 현황과 과제

도시 간의 양극화, 또는 지역 양극화는 21세기 동북아시아를 특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20세기 들어 매우 빠른 성장의 양상을 보인 동북아시아의 도시들 중 적지 않은 도시들이 […]
2023년 8월 28일

몽골 국가회복위원회와 이행기 정의

Review 1979년 독일의 밴드 징기스칸이 발매한 노래 <징기스칸>은 발매와 더불어 전세계적인 인기를 얻게 된다. 이 노래는 이내 한국에도 알려졌고, 한국의 가수 조경수는 노래를 번안하여 출시하게 된다.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